본문 바로가기

잡담157

명절 증후군 이제서야 눈치챘는데 명절이나 집안일로 본가를 다녀오면 항상 내 머리는 리셋이 되어 있었다 그래서 그런 이벤트 직전까지 집중해 있던 일과 함께 다른 사안들도 함께 뒤섞여서 무엇이 최우선인지 혼란스러워 생각을 정리하는데 또다시 일정 기간을 허비하곤 했는데 오늘에서야 비로서 그 원인과 대처 방안을 생각하게 되었다 육아 집안일 자녀교육 부모님 건강 집안 대소사 회사일 비전 토끼같은 자식이 태어나니 모든 의사 결정에 있어 최우선이 아이가 되었는데 아이들 수만큼 바람 잘 날 없을게 뻔히 보인다 그 와중에도 위에 나열한 문제들을 그대로 끌고 가야하는데 경제적인 문제만 해결되면 절반의 고민은 날려 버릴 수 있을거 같은데 주변을 돌아보면 누가 더 걱정이 많은지로 서로 걱정 대결을 펼치는 것 같다 역시나 돈 걱정 없이 사.. 2021. 2. 15.
배움에 왕도는 없다 직업에 따라 배움은 달라지지만 누구나 새로운 도전에서 동일한 과정을 겪는다 그래서 함께 도전하는 사람들이 오래 가는거 같다 책 광고 아님 그냥 지금 나에게 저 책과 같은 걸음마가 필요하다 2021. 2. 3.
종교에 대하여 고등학교때까지도 내가 가지고 있었던 기독교의 이미지였다기독교에 대한 나의 시선이 점차 변하기 시작한 시점은 고등학교 동창중에 교회에 다니는 친구가 한명 있었는데음... 당시를 회상해보면 그친구 덕분에(?) 교회를 다니는 사람들의 민낯을 제대로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요즘 유난히 사회적인 이슈로 인해 한국 기독교인들에 대한 질타가 많다그런데 우리나라보다 그 규모가 훨씬 크고 강력한 미국에서의 기독교의 이미지는 여전히 위에 그려진 그림과 같다물론 우리나라에서와 같은 온갖 부정부패와 비리가 미국에도 당연히 있을거란걸 안다10년전 유행했던 다큐 Zeitgeist(시대정신)를 관람하긴 했지만 사실 다큐에서 종교에 대한 비판은 그다지 관심이 없었다그리고 여전히 다큐의 내용이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지극히 편향되었기 때.. 2021. 1. 16.
사업 자질에 대한 사람들의 다양한 의견 출처 :: 오늘의유머 - [펌] 세무사가 본 장사로 돈 버는 사람들의 특징 (todayhumor.co.kr) 이런 글들을 스크랩하는걸 보면 나도 비교적 꼼꼼한 성격인데 내 성격은 아버지를 많이 닮아왔다 하지만 절반은 또 어머니를 닮아있다 본문의 글을 읽으면서 "아 정말 그러네..." 라고 하지만 그 댓글들을 읽어보니 "아 또 그렇구나..." 라고 순간 환기가 되었다 본문글이 완전히 틀린건 아니고 참고사항으로 꽤 정리가 잘 된 글인데 거기에 더해서 다양한 시선으로의 사람들 의견이 도움이 되는 것 같다 그래서 댓글들도 함께 스크랩했다 2020. 12. 9.
마밀라피나타파이(Mamihlapinatapai) 서로에게 꼭 필요한 것이면서도 자신은 굳이 하고 싶지 않은 어떤 일에 대해서 상대방이 자원하여 해 주기를 바라면서, 두 사람 사이에서 조용하면서도 긴급하게 오가는 미묘한 눈빛. 요약 :: 필요성 책임전가눈빛 참고 - https://ko.wikipedia.org/wiki/Mamihlapinatapai Mamihlapinatapai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 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bestofbest&no=212411 타국어로 번역하기 난감한 단어 - 마밀라피나타파이 www.todayhumor.co.kr 2020. 11. 2.
내가 생각하는 마인드 컨트롤 걱정과 고민을 적어가는 다이어리가 있다 다이어리의 모서리를 포함한 가장자리에는 그동안 내가 고민해온 모든 일들이 얹혀져 있다 그 고민들의 경중을 떠나 어느 하나 놓치지 않으려 애쓰기 때문에 각 고민들의 균형을 잡아야 했다 중지 손가락 위에 다이어리의 중심을 놓고 다이어리가 떨어지지 않게 균형을 맞춰본다 쉽지 않지만 어찌 어찌 버틸 수 있다 우리의 마음은 그 손가락 끝과 같다 혼자 있게 되면 손가락 끝이 자꾸만 좁아진다 나중엔 바늘처럼 날카로워지면 다이어리의 균형을 잡기가 정말 어려워질 것이다 그래서 생각해낸 방법이 다이어리 돌리기이다 손가락 위에 얹어놓은 다이어리를 돌려본다 천천히 돌리던 빠르게 돌리던 다이어리의 중심을 잡기가 수월해진다 그렇게 중심을 잡고 돌아가는 다이어리를 가만히 바라보자면 내 마음의.. 2020. 10. 9.